갈맷길, 부산의 아름다운 길
구간자유걷기 | [영상] 8월의 갈맷길 7-3구간|22.08.18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부산의아름다운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-08-22 17:19 조회356회 댓글0건

본문

#노을갈맷길걷기 7-3구간 20220818 

 

 

 

 

d02873a22e0b2d01128a93009f83a346_1661156

 

 

 

수안역 ~ 장관청 ~ 송공단 ~

 

동래부동헌 ~ 박차정의사 생가 ~ 충렬사 ~ 인생문~ 복천동고분 ~

 

북장대 ~ 북문 ~ 서장대 ~ 동래향교

 

 

 약 7km







수안역사 내부..

2017년 출발지였던 동래구청에서 접근성과
역사 갈맷길의 내용을 한곳에 모아둔 전국 유일의 역사 내 박물관,
지하철4호선 수안역에 위차한, '동래읍성 임진왜란 박물관' 에서 출발하는 것으로
조정이 되었습니다.

내부가.원형광장태로 되어 있으며 넓직합니다.


수안역 내부.원형광장태로 되어있으며 대각선으로 각 출구들이 있습니다.


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.


왜군은 동래왜성을 쌓으며
1446년(세종 28년) 세워진 옛 동래읍성을 파괴해 석재를 조달했다.

조선은 1731년(영조 7년) 옛 동래읍성의 6배 규모로 새 동래읍성을 건설하며
동래왜성 성벽의 돌을 가져다 사용했다.

왜군은 동래왜성을 쌓으며 옛 동래읍성의 돌을 재활용했고,
조선은 새 동래읍성을 쌓으며 동래왜성의 돌을 또다시 재활용한 것이다.

이 때문에 현재 동래왜성에 석축 흔적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.


해자 건설에 대한 설명


처참했던 1592년 음력 4월15일 동래읍성 전투상황을 그대로 간직한 유적

.


역사갈맷길 7-3구간 첫번째는
박물관 관람부터 시작합니다.

.




지하철4호선 수안역 5번 출구로 진행합니다.


역사 갈맷길 두번째는
조선시대 군관들의 집무소인 장관청입니다.


동래구 수안동 동래교차로 근처에 있던 것을
1982년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 합니다


송공단:
송상현을 비롯하여 동래성을 지키다 순절한 분들을 모신 추념제단.

.


동래부동헌 : 독진대아문에 대한 해설중이십니다


동래부동헌 입구

.

.


부사 집무실...충신당.

.


박차정의사 생가
(1910년 5월 7일 ∼ 1944년 5월 27일)은 동래구 출신의 한국의 독립운동가.

.


충렬사 입구에 배롱나무에 백일홍이 만발을 했습니다.


충렬사
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우다 장렬히 순절하신 부산지방 순국선열의 영령을 모신 곳

.

.

.

.


충렬사 후문 ~ 화목apt입구 ~ 학산여중고 후문~ 북장대로 가는 길..

.

.

.


인생문
이름 유래는 임진왜란 당시 인생문 고개를 통해 도망간 사람들이 목숨을 건졌기 때문이라는 설과,

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에서 죽은 주검들을 성 밖 묘지로 옮기는 유일한 통로였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습니다

하지만, 인생문은 1731년(영조 7년) 새로 만든
동래읍성에 딸린 문으로
1592년(선조 25년) 일어난 임진왜란과는 관련이 없지만

임진왜란 때 억울하고 처절했던 조선 백성 사연들이 입에서
입으로 전해지면서 내용이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합니다

.


복천동 고분군으로 가는 이곳에 화장실이 있어
겸사해서 쉬어 가는 장소입니다.


복천동고분군은 6세기 이전 부산 유일의 지배층 무덤으로,
가야 문화의 번성과 신라로의 편입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유적입니다


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올해는
배롱나무의 백일홍이 화려하게 피었습니다.


복천동 고분군 너머 해넘이 풍경 ..


고분군에서 북장대로 가는 길


보라색 맥문동이 싱싱하게 만개를 하였습니다.


북장대에서의 석양 일몰..

.


.



북문..


북문과 서정대로 연결된 성곽길에도 조명이 들어왔습니다.

.


왜군은 동래왜성을 쌓으며
1446년(세종 28년) 세워진 옛 동래읍성을 파괴해 석재를 조달했다.

조선은 1731년(영조 7년) 옛 동래읍성의 6배 규모로 새 동래읍성을 건설하며
동래왜성 성벽의 돌을 가져다 사용했다.

왜군은 동래왜성을 쌓으며 옛 동래읍성의 돌을 재활용했고,
조선은 새 동래읍성을 쌓으며 동래왜성의 돌을 또다시 재활용한 것이다.

이 때문에 현재 동래왜성에 석축 흔적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합니다.


가파른 하산길

.

.


동래향교 도착
향교는
조선시대 지방재정에 의해 설치·운영된 공립 중등학교격인 교육기관입니다


동래 항교에서 마무리 합니다.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구글플러스로 보내기
  • 카카오톡으로 보내기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  • HOME
  • 유튜브
  • 카카오플러스친구
  • 네이버블로그
  • 네이버밴드
  • TOP